[이태원 참사…희생자들의 명복을] 변질된 핼러윈 문화
대한민국 한복판에서 벌어진 이태원 잡단 압사사고 소식에 세계가 떠들석하다. 이번 사고는 한국에서 발생한 압사 사고 가운데 역대 최다 인명피해를 냈다. 사실 군중 압사 사고는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재라고 할 수 있다. 60여 년 전에는 한국에서도 한 해 걸러 수십 명이 생명을 잃은 압사 사고가 일어났다. 1959년 부산공설운동장에서 시민위안잔치 관중들이 소나기를 피해 출입구로 몰리면서 67명이 숨졌고, 1960년 설날을 앞두곤 귀성객들이 서울역 승강장에 몰려 31명이 숨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태원 참사 소식을 자세히 전한 뒤 “한국에서 핼러윈은 아이들이 사탕을 얻으러가는 날이 아니다”라며 “최근 몇 년 간 20대를 중심으로 코스튬을 차려입고 클럽에 가는 행사로 정착됐다”고 전했다. 한국에서 핼러윈 문화가 변질되고 있다고 본 것이다. 핼러윈은 유래나 풍습 등을 떠나서 음침한 분위기속에 웃고 즐기는 어린이 위주의 문화인데 어쩌다 한국에서는 2030대들의 광란의 문화로 변질된 것인지 의아하게 느껴진다. 미국의 아동축제로 잘 알려진 ‘핼러윈데이’는 매년 10월31일 추수가 끝나고 으시시한 저녁때 제법 무섭고 음침하게 분장하고 검은 색깔의 옷으로 변장한 어린이들이 집집마다 방문해 큰소리로 외친다.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라고 소리치면 집주인은 웃으며 “웰컴” 하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한 움큼씩 집어준다. 아이들의 부모들은 뒤따르며 안전관리에 신경을 쓴다. 이게 진짜 핼러윈 문화가 아닌가. 핼러윈은 고대 켈트족이 새해(11월 1일)에 치르는 사윈(Samhain) 축제에서 유래된 것으로 8세기 유럽에서 카톨릭교회가 11월 1일을 ‘모든 성인 대축일’로 정하자 축제는 전날인 10월 31일이 됐다. 핼러윈이라는 명칭은 ‘신성한(hallow) 전날 밤(eve)’이라는 의미다. 유령이나 괴물로 분장한 아이들이 이웃집 초인종을 누르고 다니며 간식을 얻는 오늘날의 모습은, 유럽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며 원주민 문화와 융합된 후 정착된 풍습이라고 한다. 핼러윈데이는 원래 종교 축제다. ‘모든 성인의 날’이란 기독교 축일이 아일랜드 전통 축제와 섞이면서 1000년 전부터 유럽에서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일랜드와 영국, 그리고 영국 식민지였던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정도에 국한된다. 같은 기독교라도 유럽 대륙의 가톨릭, 동유럽 정교회 나라에선 여전히 낯설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과 일본은 매우 특이하다. 언제부터인가 종교적 의미는 사라지고 청춘들의 열기가 분출하는 축제로 변했다. 요즘 기독교 단체에서는 어린이의 축제를 건전하게 그리고 교육적으로 분위기를 전환시케느데 노력하고 있다. 즉, 핼러윈은 망령을 대상으로 한 흥미위주의 축제지만 기독교에서는 미신과 허구적인 전설을 배제하고 어린이가 즐기는 축제문화로 개선하고 있다, 고로 핼러윈(Halloween)을 '홀리윈(Hollywin)'이라는 발음상 비슷한 타이틀로 부른다. 아무튼 즐거운 청춘남녀의 파티가 죽음의 망령으로 뒤덮인 이태원의 악몽은 다시는 없어야겠다. 마국사람들은 아이들이 이웃을 돌아다니며 사탕을 받아오는 것처럼 핼러윈은 가족과 이웃의 친목을 확인하는 문화라고 한다. 장차 또 우리가 경험할 핼러윈 속엔 축제라는 가면을 쓴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이재학 / 6.25참전유공자회 회장이태원 참사…희생자들의 명복을 핼러윈 변질 핼러윈 문화 진짜 핼러윈 원주민 문화